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💼 직장인도 추가 보험료 낸다?보수 외 소득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 정리!

by indianboy2025 2025. 5. 18.

 

💼 직장인도 추가 보험료 낸다?
보수 외 소득 건강보험료 계산 방법 정리!

안녕하세요, 보수외 소득이 있으신 직장인 여러분!!

종부세 신고 하셨으면, 오늘은 직장인 건강보험료 중에서도 ‘보수 외 소득’에 대한 보험료 부과 기준과 계산 방식에 대해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.


✅ 먼저, '보수'와 '보수 외 소득'의 차이부터!

구분 설명 예시
보수 직장에서 급여로 받는 소득 월급, 상여금, 수당 등
보수 외 소득 급여 외 추가 소득 임대소득, 이자소득, 주식양도소득, 연금소득 등

많은 분들이 월급에서 건강보험료가 전부 빠진다고 생각하시지만, 보수 외 소득이 일정 기준을 넘으면 추가 보험료가 부과됩니다.


📌 보수 외 소득 건강보험료, 언제부터 내야 하나요?

  • 부과 대상: 보수 외 소득 연 2,000만 원 초과 직장가입자
  • 기준 시기: 전년도 소득 기준, 매년 11월경 부과
  • 소득 유형: 이자·배당, 임대, 사업, 연금, 기타소득 등
예시: 2024년에 보수 외 소득이 2,100만 원인 경우 → 2025년 11월에 부과 대상

💡 보험료는 얼마나 나올까? (계산 방식)

계산식: 건강보험료율 × 보수 외 소득 × 1/12

2025년 기준 건강보험료율: 7.09%

📌 예시 계산

  • 보수 외 소득: 3,000만 원
  • 과세 대상: 2,000만 원 초과분 → 1,000만 원
  • 건강보험료: 1,000만 × 7.09% ÷ 12 = 약 59,000원/월
  • 장기요양보험료 포함 시 약 66,000원/월

※ 고지서로 통지되며, 12개월 분할 납부 방식입니다.


💬 자주 묻는 질문 (Q&A)

Q1. 보수 외 소득이 정확히 2,000만 원이면 부과되나요?
A1. 아니요, 초과분부터 부과됩니다.

Q2. 퇴사 후 보수 외 소득이 생기면?
A2. 지역가입자로 전환 시 전체 소득 기준으로 부과됩니다.

Q3. 신고는 따로 해야 하나요?
A3. 아닙니다. 국세청 소득자료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자동 부과합니다.


🧾 마무리 요약

  • 직장인이더라도 보수 외 소득이 연 2,000만 원 초과 시 추가 건강보험료 발생
  • 7.09% 요율로 부과, 고지서에 따라 12개월 분납
  • 매년 11월 고지, 기준은 전년도 소득

소득원이 다양해진 요즘, 건강보험료도 함께 관리하는 것이 현명한 재정관리의 시작입니다.

문의: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 ☎ 1577-1000


📌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유 부탁드려요!